동짓날 먹는 팥죽, 팥죽을 먹는 이유와 팥죽의 효능! | ||
---|---|---|
작성자 : 관리자 | 조회수 : 167 | 작성일 : 2022.12.21 |
"동지란?" 동지는 24절기 중 하나로 일 년 중에 밤이 가장 길며 낮은 가장 짧은 날을 말합니다. 2022년 동지는 12월 22일 수요일인데요. 예로부터 동짓날은 해가 새롭게 부활하는 날, 작은설, 혹은 아세라고도 불리며 마치 설 명절과 같이 중요하게 여겨왔던 날이라고 합니다. 때문에 동지가 지나야지 한 살 더 먹는 것이라는 옛 어른들의 말이 있었기에 동지에는 팥죽을 먹는 풍습이 있는데요. 때문에 여전히 동지=팥죽 먹는날로 알고 계신 분들이 많습니다. 하지만 왜 이러한 팥죽을 먹었는지 모르시는 분들이 많습니다.
"동짓날 팥죽을 먹어야 하는 이유"
![]() 동짓날 팥죽을 먹었던 이유는 밤이 길어진 만큼 나쁜 기운, 음의 기운이 강해진다고 생각했기 때문에 이를 물리치고 전염병 등을 예방하기 위해서 먹었다고 합니다. 특히 팥은 붉은색이기 때문에 음귀를 내쫓는데 효과가 있다고 생각했기 때문에 먹어왔다고 합니다. 또 다른 이유는 앞서 말씀드린 것과 같이 예로부터 동짓날은 태양이 새롭게 부활하는 날이라는 의미를 담고 있는 만큼 작은 설로 취급했기 때문에 설날에 떡국을 먹는 것처럼 팥죽을 먹어왔다고 합니다. 그렇다면 겨울철 영양 식품 팥죽에는 어떠한 효능이 있을까요?
"팥죽의 효능 및 부작용"
![]() 팥의 주요성분은 탄수화물과 단백질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때문에 조금만 먹더라도 포만감을 채워줄 수 있는 것은 물론 비타민A, B1, 칼륨, 칼슘, 인 등의 영양소와 식이섬유가 들어있습니다. 그런 만큼 변비를 예방하고 피로회복을 돕거나 노화를 예방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습니다. 특히 팥에 들어있는 칼륨의 경우 체내의 나트륨을 배설시켜줌으로써 혈압을 낮추는 데 도움을 줍니다. 또한 부기를 해소시키는 데 도움을 줍니다. 겨울감기 예방에도 도움을 주는 팥죽이지만 과다하게 섭취할 경우 배탈, 설사 등이 발생할 수 있으며 이뇨작용을 촉진하는 만큼 신장 기능이 좋지 못하신 분들의 경우 섭취를 주의해 주시는 것이 좋습니다.
"팥죽 만드는 방법"
![]()
그렇다면 팥죽을 어떻게 만드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팥을 담은 냄비에 물이 잠길 정도로 붓고 충분히 삶아준 후 한번 삶은 팥물은 버려준 후 다시 물을 넣고 2차로 삶아 줍니다. 2. 팥이 푹 익은 경우 물 2컵 정도를 부어가며 주걱으로 비벼가면서 체에 걸러서 팥 앙금을 내린 후 껍질을 제거해 줍니다. 3. 찹쌀가루에 소금을 약간 섞어 따뜻한 물을 넣어준 후 익반죽을 해준 후 1~2cm 정도 동그란 옹심이를 만들어줍니다. 4. 냄비에 팥 물과 쌀을 넣고 끓여준 후 끓어오르기 시작하면 뚜껑을 닫고 쌀이 퍼질 때까지 기다립니다. 5. 쌀이 다 퍼질 때쯤 옹심이를 넣고 끓이다가 적당량의 소금으로 간을 해주면 완성됩니다. |
서비스 이용안내
진료과/의료진
뉴고려 커뮤니티